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천연기념물 음식점이 성업 중
    생활 2025. 3. 16. 17:01
    728x90
    반응형
    SMALL

    Regardless of the content

     

     

    제주 흑돼지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지 올해로 10년이 되었습니다. 뛰어난 맛 덕분에 제주도의 대표적인 미식 아이콘으로 자리 잡았으며, 제주 전역에는 이를 주메뉴로 내세운 음식점이 성업 중입니다. 관광객뿐만 아니라 미식가들에게도 큰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그러나 천연기념물이라는 명칭 때문에 제주흑돼지를 식당에서 먹어도 되는지 의문을 품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제주흑돼지의 역사와 문화적 가치:

    • 제주흑돼지는 단순한 음식 이상의 의미를 지닙니다. 과거 혼례나 초상 등 집안의 큰 행사뿐만 아니라 마을의 무사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는 마을제에서도 돼지고기는 가장 귀한 음식으로 여겨졌습니다.

     

    • 특히 제주도에서는 돼지를 ‘돗통시’라 불리는 돌담으로 둘러싸인 변소에서 키웠으며, 이는 농가의 퇴비 생산과 화장실 청소 역할을 함께 수행하는 방식이었습니다. 이러한 배경으로 제주흑돼지는 ‘똥돼지’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습니다.

     

    • 제주도 축산진흥원은 1986년 제주시 우도 등 도서 지역에서 재래종 흑돼지 5마리(암컷 4마리·수컷 1마리)를 확보해 현재까지 순수 혈통을 유지하며 관리하고 있습니다. 문화재청은 2015년 3월17일 제주흑돼지를 국가지정문화재 중 하나인 천연기념물 제550호로 지정했습니다.

     

     

    Regardless of the content

     

     

    천연기념물 제주흑돼지와 식용 제주흑돼지의 차이:

    •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제주흑돼지는 제주특별자치도 축산진흥원의 사육시설과 방목장 보호구역 내 개체만 해당합니다. 현재 약 275마리가 사육되고 있으며, 정부는 혈통 보존을 위해 최소 250마리 이상을 유지하도록 관리하고 있습니다.

     

    • 나이가 들거나 표준 체형을 갖추지 못한 개체는 연 1회 심사를 통해 천연기념물 지위를 해제한 후 보호구역 밖으로 반출됩니다. 즉, 일반 식당에서 소비되는 제주흑돼지는 천연기념물이 아닙니다.

     

    • 시중에서 판매되는 제주흑돼지는 고유 혈통의 제주흑돼지를 기반으로 다른 품종과 교배한 개량종이 대부분입니다.
    • 제주 재래흑돼지는 지방층이 두껍고 생산성이 낮아 농가에서는 몸집이 크고 성장 속도가 빠른 햄프셔, 육질이 부드러운 버크셔·듀록 등의 품종과 교배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 2023년 기준 제주도 내 258개 양돈농가에서 사육되는 돼지는 총 51만9209마리이며, 이 중 흑돼지는 15만5446마리로 전체의 약 29.9%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Regardless of the content

     

     

    제주흑돼지의 경제적 가치와 과제:

    • 2000년대 이후 제주를 찾는 관광객이 증가하면서 제주흑돼지는 관광 상품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개량 흑돼지는 내외국인 관광객들에게 인기를 끌며 일반 돼지보다 높은 가격에 판매됩니다.

     

    • 여름철 관광객 수요가 많은 시기에는 제주흑돼지의 경락가가 일반 돼지보다 ㎏당 약 2000원가량 높으며, 비수기인 겨울철에는 ㎏당 약 500원가량 높은 수준을 유지합니다.

     

    • 제주흑돼지는 우수한 맛과 품질을 자랑하지만 해결해야 할 문제도 있습니다. 2023년 ‘비계 삼겹살’ 논란으로 인해 제주흑돼지의 이미지가 실추되었습니다.

     

    •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비계 함량이 높은 삼겹살이 판매된 사실이 알려지면서 전국적인 논란이 발생했고, 관련 업계는 큰 타격을 입었습니다. 이에 따라 관광객이 믿고 찾을 수 있도록 신뢰 회복이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습니다.

     

    • 전문가들은 “양돈농가의 분뇨 불법 배출과 악취 문제도 해결해야 할 과제”라며 “제주 환경을 보호하면서도 제주흑돼지 산업을 지속 가능하게 발전시키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Regardless of the content

    728x90
    반응형
    LIST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