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연기념물 음식점이 성업 중생활 2025. 3. 16. 17:01728x90반응형SMALL
Regardless of the content 제주 흑돼지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지 올해로 10년이 되었습니다. 뛰어난 맛 덕분에 제주도의 대표적인 미식 아이콘으로 자리 잡았으며, 제주 전역에는 이를 주메뉴로 내세운 음식점이 성업 중입니다. 관광객뿐만 아니라 미식가들에게도 큰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그러나 천연기념물이라는 명칭 때문에 제주흑돼지를 식당에서 먹어도 되는지 의문을 품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제주흑돼지의 역사와 문화적 가치:
- 제주흑돼지는 단순한 음식 이상의 의미를 지닙니다. 과거 혼례나 초상 등 집안의 큰 행사뿐만 아니라 마을의 무사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는 마을제에서도 돼지고기는 가장 귀한 음식으로 여겨졌습니다.
- 특히 제주도에서는 돼지를 ‘돗통시’라 불리는 돌담으로 둘러싸인 변소에서 키웠으며, 이는 농가의 퇴비 생산과 화장실 청소 역할을 함께 수행하는 방식이었습니다. 이러한 배경으로 제주흑돼지는 ‘똥돼지’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습니다.
- 제주도 축산진흥원은 1986년 제주시 우도 등 도서 지역에서 재래종 흑돼지 5마리(암컷 4마리·수컷 1마리)를 확보해 현재까지 순수 혈통을 유지하며 관리하고 있습니다. 문화재청은 2015년 3월17일 제주흑돼지를 국가지정문화재 중 하나인 천연기념물 제550호로 지정했습니다.
Regardless of the content 천연기념물 제주흑돼지와 식용 제주흑돼지의 차이:
-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제주흑돼지는 제주특별자치도 축산진흥원의 사육시설과 방목장 보호구역 내 개체만 해당합니다. 현재 약 275마리가 사육되고 있으며, 정부는 혈통 보존을 위해 최소 250마리 이상을 유지하도록 관리하고 있습니다.
- 나이가 들거나 표준 체형을 갖추지 못한 개체는 연 1회 심사를 통해 천연기념물 지위를 해제한 후 보호구역 밖으로 반출됩니다. 즉, 일반 식당에서 소비되는 제주흑돼지는 천연기념물이 아닙니다.
- 시중에서 판매되는 제주흑돼지는 고유 혈통의 제주흑돼지를 기반으로 다른 품종과 교배한 개량종이 대부분입니다.
- 제주 재래흑돼지는 지방층이 두껍고 생산성이 낮아 농가에서는 몸집이 크고 성장 속도가 빠른 햄프셔, 육질이 부드러운 버크셔·듀록 등의 품종과 교배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 2023년 기준 제주도 내 258개 양돈농가에서 사육되는 돼지는 총 51만9209마리이며, 이 중 흑돼지는 15만5446마리로 전체의 약 29.9%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Regardless of the content 제주흑돼지의 경제적 가치와 과제:
- 2000년대 이후 제주를 찾는 관광객이 증가하면서 제주흑돼지는 관광 상품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개량 흑돼지는 내외국인 관광객들에게 인기를 끌며 일반 돼지보다 높은 가격에 판매됩니다.
- 여름철 관광객 수요가 많은 시기에는 제주흑돼지의 경락가가 일반 돼지보다 ㎏당 약 2000원가량 높으며, 비수기인 겨울철에는 ㎏당 약 500원가량 높은 수준을 유지합니다.
- 제주흑돼지는 우수한 맛과 품질을 자랑하지만 해결해야 할 문제도 있습니다. 2023년 ‘비계 삼겹살’ 논란으로 인해 제주흑돼지의 이미지가 실추되었습니다.
-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비계 함량이 높은 삼겹살이 판매된 사실이 알려지면서 전국적인 논란이 발생했고, 관련 업계는 큰 타격을 입었습니다. 이에 따라 관광객이 믿고 찾을 수 있도록 신뢰 회복이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습니다.
- 전문가들은 “양돈농가의 분뇨 불법 배출과 악취 문제도 해결해야 할 과제”라며 “제주 환경을 보호하면서도 제주흑돼지 산업을 지속 가능하게 발전시키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Regardless of the content 728x90반응형LIST'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GM 군산공장 폐쇄 (0) 2025.03.16 남편 때문에 이혼을 결심 (0) 2025.03.16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친환경 정책을 철회 (0) 2025.03.16 백종원 식품위생법 위반 의혹 (0) 2025.03.16 30분 걷기보다 45분마다 (0) 2025.03.16